좋은글, 책
-
소설쓰는 법, 좋은 글감을 찾는 법좋은글, 책/글쓰기 2022. 1. 1. 03:12
= 소설쓰는 법. 소재, 좋은 글감 찾는 방법 = 1. 망한 영화, 흥행하지 못한 영화를 보면서 아이디어를 얻음. 못 만든 영화, 망한 영화를 보고 ‘그래도 이거 하나는 재밌었다’든지 ‘이 부분은 흥미롭거나 괜찮았다’라는 부분을 메모해두고 비슷한 부분끼리 정리해두면 나중에 내 소재의 아이디어로 발전시키거나 응용하고 이야기를 키워나갈 수 있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 - 줄거리와는 별개로 따로 떼놓고 봤을 때 관심이 가는 부분, 또는 졸작에서나 있을 수 있는 ‘이해할 수 없는 엉뚱한 부분’들은 내 소재와 연결되는 아이디어가 될 수도 있다. - 말이 안되는 상황을 좀더 아이디어적으로 바꾸기 위해 앞뒤 사연을 바꾸거나 인물의 처지나 배경을 바꿔본다. (아무리 졸작이라도 투자, 제작되었다는 것은 그 영화에 투자를..
-
오티움, 능동적 휴식으로 내적 기쁨 얻기좋은글, 책/책갈피🔖 2021. 9. 5. 21:18
“오티움(라틴어) : 여가, 은퇴 후 시간, 학예 활동. 고대의 학예 활동은 ‘배움을 즐기는 여가 시간’을 의미했다. 소극적인 휴식을 넘어 자신을 재창조하는 능동적인 휴식.” “우리 시대가 불행한 이유 중의 하나는 ‘나’의 중요성은 점점 커지지만 정작 나를 채우는 내용물을 빈약하기 때문이다.” "어떤 사람들은 오늘의 행복을 위해 지금 하고 싶은 일을 하라고 하고, 어떤 사람들은 내일의 행복을 위해 지금 해야할 일을 먼저 하라고 한다. 다 나름의 이유가 있다. ...그런데 이 선택 상황에는 전제가 필요하다. 오늘을 참고 견디면 내일은 꼭 행복할 수 있다는 보장이 있어야 한다. ...팍팍한 건빵을 먹고 나면 마지막에 달달한 별사탕을 먹을 수 있다는 확실한 보장이 있다면 우리는 좀 더 참고 견딜 수 있다." ..
-
공감수업 <당신은 너무 늦게 깨닫지 않기를> 문장 메모좋은글, 책/책갈피🔖 2021. 9. 3. 23:54
이해하고 이해받고 싶은 당신을 위한 공감 수업 공감에 대한 학술적 논문을 찾는다면 이 책은 적합치 않다. 작가는 연구하는 과학자가 아니라 상처 입고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상담하는 임상의로서, 공감과 친밀감 사이의 관계성을 연구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고 말하고 있다. 작가가 말하고 싶은 것은 공감이 어떻게 사람들의 유대를 강화시키고, 절망에 빠진 사람들에게 희망과 위로를 전달하며, 오해로 찢어진 관계를 꿰매고, 자아의식을 잃은 이들이 자신감과 믿음, 신뢰를 되찾게 하는가에 대해서이다. 작가는 남녀노소를 불문한 모든 이들에게 공감을 하나의 평가 도구로 사용하는 법을 가르친다고 말한다. 상대가 선의와 호의를 품고 있는지 아니면 우리를 속이거나 해치기 위해 공감을 악용하고 있는지 분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
올해 당신은 소설 쓴다 (월터 모슬리) 문장 메모좋은글, 책/글쓰기 2021. 8. 31. 19:48
미국 소설가 월터 모슬리 글쓰기는 기본적으로 무의식적 활동, 소설은 당신의 머리보다 크다. 글을 쓰는 동안 불러내는 연결, 분위기, 비유, 경험은 내면 깊은 곳에서 나온다. 이야기의 꿈이란 당신의 의식 세계 아래에 있는 마음의 상태이고 생각의 대륙이다. 소설 속 세계로 들어갈 때마다 가까워지는 곳이다. 전부 잊어버려야 한다. 소설 한 꼭지를 다 쓰기 전에는 일기를 쓰지 마라. 소설을 쓰기로 정한 시간에는 다른 일은 하지 마라. 전화기를 꺼두라. 가족, 연인에게 방해하지 말아달라고 부탁하라. 글을 쓰러 카페나 도서관으로 도망쳐라. 우리가 거리 모퉁이에서 마주친 사람에게서 어떤 이야기를 들을 때와 같은 방식으로 소설의 첫 문장부터 마지막 문장까지 서술하는 목소리를 통해 정보, 이미지, 감정이 한꺼번에 전달된..